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비 진작 vs. '꼼수'(담배? 현금화?) 논란

by 1분전 뉴스 2025. 7. 25.

민생회복 소비 쿠폰 담배, 현금화 논란

 

전 국민에게 지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 어려운 민생을 살리고 소비를 촉진하자는 좋은 의도로 시작되었지만, 일부 품목 구매 논란과 '현금화' 시도까지 불거지면서 정부와 경찰이 칼을 빼 들었습니다. 과연 이 쿠폰은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하며, 불법적인 유통은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뜨거운 감자, '담배 구매' 논란의 핵심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사용해 담배를 구매했다는 후기가 온라인에 퍼지면서 큰 논쟁이 시작됐습니다. "흡연 지원금이냐", "소비 쿠폰 받아서 담배부터 사러 가냐"는 비판이 쏟아지는 반면, "필요한 물건 사는 것도 민생이다", "현금처럼 쓰는 건데 제한은 말이 안 된다"는 반박도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우려되는 부분은 쿠폰으로 구매한 담배를 되팔아 현금화하는 소위 **'담배깡'**에 대한 이야기까지 확산되면서, 쿠폰의 본래 취지가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한국편의점산업협회 및 주요 편의점업체 임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민생회복소비쿠폰 취지에 어긋나는 특정 품목 판매를 자제해 달라"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는 정부가 직접적인 규제보다는 업계의 자발적인 협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소비쿠폰 '현금화' 꼼수? 경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담배 구매 논란에 이어, 소비쿠폰의 **'현금화'** 시도까지 포착되자 경찰이 칼을 빼 들었습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7월 24일부터 소비쿠폰 사용 기한인 11월 30일까지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 단속**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이 집중 단속하는 '현금화' 꼼수는 크게 세 가지 유형입니다.

  • **'카드깡' (가맹점을 통한 현금화):** 실제 물품 거래 없이 가맹점이 소비쿠폰을 카드로 결제한 후, 일정 수수료를 뺀 현금을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행위입니다. 예를 들어, 15만원짜리 쿠폰을 12만 원 현금으로 바꿔주는 식이죠.

  • **'허위 매출 발생' (가맹점의 불법 환전):** 가맹점이 소비자 없이 소비쿠폰을 할인된 가격으로 매수해, 국가나 카드사를 속여 쿠폰을 현금으로 바꿔내는 경우입니다.

  • **'개인 간 직거래 사기' 및 '쿠폰 양도':**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15만원짜리 쿠폰을 13만 원에 판매한다"는 식으로 속여 돈만 받고 잠적하거나, 소비쿠폰이 입금된 신용·체크카드를 타인에게 넘기는 행위도 단속 대상입니다.

경찰은 전국 시도경찰청 사이버수사대와 반부패수사대를 중심으로 불법 유통 행위를 모니터링하고 인지 수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또한, 이러한 불법 행위로 얻은 **범죄 수익금은 끝까지 추적하여 몰수·추징 보전**할 방침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애초 소비쿠폰 지급 목적과 달리 부당하게 이득을 취하는 행위는 엄단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할까?

이번 논란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향하는 **'민생 회복'의 범위**와 **'소비의 자유'** 사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가치 충돌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담배와 같은 비필수 소비재 구매를 제한하는 것이 과연 국민들의 소비 자유를 침해하는 것인지, 아니면 쿠폰의 본래 취지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인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동시에, 쿠폰의 불법 현금화는 단순히 개인의 일탈을 넘어 쿠폰 시스템 자체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결국 정직하게 쿠폰을 사용하는 대다수 국민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정부와 경찰의 강력한 단속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본래의 취지대로 어려운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고, 건강한 소비 문화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려면 우리 모두의 관심과 올바른 사용이 중요할 것입니다.

 

여러분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사용 범위와 현금화 단속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